반응형

한중일 젓가락 삼국지! 한.중.일 젓가락의 차이점과 문화비교

반응형
728x170

한중일 젓가락 삼국지! 

한.중.일 젓가락의 차이점과 문화비교









  한국

젓가락보다 숟가락의 발달이 가장 앞서서 발달을 했고 유지된 식습관의 특징인 밥과 국 문화의 영향으로, 좁은 밥상에 둘러 앉아 반찬의 독점보다는 다 같이 공유하는 식문화가 젓가락의 섬세함과 정확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철제 젓가락이 그 요구를 가장 잘 반영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전부 공유하는 문화는 반찬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게 만들었다 할 수 있고 그것이 수저의 발달이 되었을 것인데,

철 제품은 음식을 집는데 힘이 정확히 전달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한국인은 젓가락으로 김치 찢고, 깻잎절임 한 장씩 떼고, 도토리묵까지 집을수 있다.

우리나라는 중간 길이의 젓가락이 보편화되어 있고 굵기나 형태가 중국과 일본의 중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쇠를 사용한다는 것. 역사적으로 금속을 다루는 문화가 발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쇠를 수저에 이용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쇠는 나무라는 재질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일본과 중국의 나무젓가락과 비교하여 굵기도 가늘고 손가락으로 잡는 데 미끄럽고 조절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중국

중국은 전형적인 식탁문화로 음식 보존을 위한 튀김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잡게 되었고 여기서 긴 형태의 젓가락 사용이 보편화되고 특히 식탁 가운데에 위치한 음식을 덜고 집기 위한 형태로서도 긴 젓가락 사용이 요구되었다.

재질은 주로 대나무 등 나무를 사용하고 잡는 부위가 뭉툭하며 잡는 방법에 대한 일정한 규칙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지역적인 특성이 달라 다양한 형태의 나무젓가락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 문화의 도입과 더불어 플라스틱 젓가락, 포크 등 다양한 도구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젓가락 집는 자세도 튀김 등 크기가 큰 음식이 주를 이루어 섬세하고 정확한 동작을 요구하기보다는 편하게 잡는 기능이 중시되었다.





  일본

일본의 젓가락은 뾰족하고 날렵한 모양이 특징.

일본은 우리와 비슷한 밥상 문화가 주를 이루고 해양국가여서 생선 등 음식의 특성상 짧은 형태의 젓가락이 발달하게 되었고 밥그릇을 입으로 가져가 젓가락으로 밥을 긁어먹는 관계로 굳이 긴 젓가락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아 식사하기 편하게 짧은 모양이며, 대개 나무로 만든 것이라 소박하다. 

생선요리가 많다보니 집는 일보다는 생선의 뼈를 바르거나 찌르고 자르는 일이 많아 위아래의 굵기의 차이가 큰 것이 특징.

숟가락을 쓰지 않아 ‘미소시루’같은 된장국을 먹을 때는 어쩔 수 없이 국그릇을 들고 마셔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밥 그릇을 들고 먹는 것이 예의에 어긋난다고 하지만 일본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도 한편으로 일본의 식기가 우리나라와는 달리 목제식기가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비교적 차진 성분이 많은 쌀을 먹어 왔기 때문에 젓가락으로 밥을 뜨기가 더 편하다는 것이 결정적으로

현재의 일본이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게 된 이유라고도 볼 수 있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재질의 나무를 사용하여 만들고 있다.


==============================

★ 매일매일 좋은글 받아보세요 ★(카카오스토리)

업데이트는 매일 진행됩니다. 

 ☞ "코코네" 스토리 채널

 ☞ "코코네" 스토리채널

===============================

===============================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 꼭 눌러주세요. ^^

반응형
그리드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